속 공
- 스피드를 특징으로 하는 농구경기에서 속공(fast break)은 가장 중요한 공격전법 중의 하나이다. 특히, 단신인 경우에는 유효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전법이다.
- 속공의 기회는 인터셉트, 리바운드, 바이얼레이션, 자유투 후 또는 상대방의 득점 후에 생기게 된다. 어떠한 방법으로든 공을 소유하자마자 될 수 있는 한 신속히 공격 코트로 패스하여 득점을 시도하는 것이 속공이다. 예를 들면, 리바운드를 잡은 즉시 앞을 향해 뛰는 동료에게 길게 패스하여 수비자 없이 레이업 슛을 하여 안전하게 득점을 올리는 것이다. 그것이 여의치 않을 때는 사이드로 아웃렛 패스하여 그 선수로 하여금 전진 패스하게 된다. 이때 첫 아웃렛 패스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속공의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 속공시 아웃렛 패스는 가능한 한 수비가 허술한 사이드로 하되, 공 소유자의 연장선보다 공격 바스켓에 가까운 방향으로 하는 전진 패스여야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비자가 수비대형을 갖추기 전에 공격자수가 더 많아지는 2 대 1 또는 3 대 2 상황을 만들 수 있다
.
-속공을 잘 하기 위해서는 수비에서 공격으로 넘어가는 순간을 예민하게 알아채고 있어야 한다. 그래서 각 선수는 기회가 왔을 때 코트에서 균형을 잡으면서 미리 약속된 위치로 뛰어서 득점을 노린다. 이때 공격 리바운드에 참가하여 제2, 제3의 공격 슛 기회를 볼 수 있는 트레일러(trailer)와 속공이 실패할 경우 책임지고 수비의 최후선을 지킬 수 있는 안전수비자의 역할도 중요하다.
1) 속공의 형태
속공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다. 공격 코트에 있는 동료선수에게 공을 롱패스함으로써 패스횟수를 줄여 최단 시간에 순간적으로 득점기회를 보는 단독속공방법과, 숏패스로 공을 전진시키는 방법, 또 드리블로 중앙을 돌파하여 전진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런데, 크게는 삼선 속공(three lane fast break)방법과 사이드 속공(side break)방법으로 나뉜다. 특히, 삼선속공은 공을 신속히 전진시키는 동안 코트 위의 선수가 움직이는 행동주로(行動走路)의 균형을 잡는 것이 필요하다.
2) 속공의 포인트
(1) 양쪽 사이드를 달리는 사람
첫째, 가급적 드리블을 해서는 안 된다. 되도록 빨리 중앙을 달리는 사람에게 공을 패스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한 걸음이라도 공보다 먼저 앞으로, 사이드로 넓게 나가도록 전력 질주해야 한다. 공격 코트의 양쪽 사이드 45도부터는 바스켓을 향하여 대시한다.
(2) 중앙으로 달리는 사람
첫째, 중앙선을 신속하게 넘는다.
둘째, 중앙선을 넘으면 충분히 공을 조정할 수 있는 속도로 자유투선을 향하여 접근하면서 득점기회를 노린다. 이 경우 드리블을 사용하여도 상관 없다. 다만, 드리블은 고개를 들고 시야를 넓혀 양쪽 사이드를 달리는 선수에게 정확히 패스하여야 한다.
-----------------------------------------------------------------------------
three lanes fast break
- dribbler(코트 중앙), cutter(양쪽 사이드), trailer(2차 컷 시도), preventor(속공 실패시 역습 차단)로 구성
- outlet pass는 코트 중앙에 있는 포인트 가드(볼핸들링이 가장 좋은 선수)에게 한다.
running the three lanes fast break
- 포인트 가드가 리바운드 지역 근처로 내려가 아웃렛 패스를 받아코트 중앙으로 드리블한다.
- 컷터들은 양쪽 사이드를 따라 전방으로 빠르게 뛰어간다.
- 리바운드를 잡은 공격수 5번은 전방으로 뛰는 컷터에게 무리하게 아웃렛 패스를 시도하지 마라.
- 포인트 가드가 3점라인까지 드리블한다. 전방으로 불필요한 패스를 하지 않는다.
- 양쪽 사이드의 cutter들은 바스켓을 향해 45도 각도로 컷을 시도하면서
포인트가드로부터 패스를 받아 레이업을 시도한다.
포인트가드가 미들슛을 시도하면 리바운드에 참여한다.
- 첫 번째 속공에 실패하면 바스켓 밑으로 크로스하면서 지나 반대편 윙이나 코너로 이동한다.
- 포인트 가드는 프리드로 라인 오른쪽으로 이동한다.
- 공격수4번이 오른쪽 로우포스트를 향해 컷한다.
- 공격수5번이 왼쪽 로우포스트를 향해 컷한다.
성공적인 속공을 위한 조건
1. 수비리바운드
2. 빠르고 정확한 아웃렛 패스
3. cutter들의 빠른 속공참여
4. 빠르게 움직이되 서두르지 마라. be quick, but never hurry
5. 무리한 속공이나 패스를 시도하지 마라.
속공이 불가능하면 정상적인 half court offense로 전환하라.
secondary numbered break
- 상대편의 득점이나 리바운드, 스틸에 성공하여, 공격 전환시 빠르게 secondary numbered break를 시도한다.
- 수비수들이 자리잡기 전이나 프레스 수비를 깨뜨릴 때 사용한다.
- 공격수 1번에게 빠르게 인바운드 패스를 하고, 나머지 공격수들은 전방으로 빠르게 뛰어나간다.
- 공격수 3번이 공격수 1번에게 빠르게 패스한다. 공격수 2,4,5번은 전방으로 달린다.
- 공격수 2번은 왼쪽 사이드로, 공격수 5번은 포스트를 향해 달린다.
공격수 4번은 오른쪽 엘보우에 위치하여 포스트의 공간을 확보해준다.
5가지의 가능한 옵션
1. 공격수 1번이 드리블로 레이업을 시도
2. 공격수 1번이 공격수 2번에게 패스하여 코너에서 외각슛 시도
3. 공격수 1번이 트레일러 공격수 3번에게 패스하여 외각슛 시도
4. 공격수 1번이 바스켓을 향해 컷하는 공격수 4번에게 패스
5. 공격수 1번이 포스트로 이동한 공격수 5번에게 패스하여 레이업 시도
옵션 1 - 옵션 2,5 - 옵션 4 - 옵션 3 순서대로 속공을 진행한다.
첫번째 공격이 실패하면 포스트 밖으로 이동하여 백코트한 수비수들의 시선을 분산시키고
trailer의 두번째 공격을 위한 공간을 확보해준다.
- 옵션1 시도
- 옵션2, 5 시도
- 공격수 4번은 엘보우로 이동하여 속공의 진행 상황을 판단한다.
공격수 1번이 레이업을 시도하면 오펜스 리바운드 참여한다.
- 공격수 1번이 레이업을 시도하는 것을 1옵션으로 한다.
공격수 1번은 레이업을 시도하거나 공격수 2,5번에게 패스를 내준다.
- 옵션4
공격수 1번이 밖에서 멈추는 경우,
공격수 4번이 볼사이드의 엘보우를 향해 컷하여 바스켓으로 레이업을 시도한다.
- 옵션3
공격수 3번은 오른쪽 윙으로 이동하여 공격수 1번에게 패스를 받아 3점슛을 시도한다.
- 모든 옵션이 실패하면 half-court offense로 전환한다.
secondary fast break
- 공격수 5번은 포인트 가드에게 빠르게 인바운드 패스를 한다.
공격수 2,3번은 사이드라인을 따라 전방으로 뛴다.
- 공격수 1번은 전방으로 빠르게 드리블하면서 공격수 2,3번에게 롱패스를 시도한다.
- 수비수 방해를 받지 않는 경우 공격수 1번은 프리드로 라인으로 이동하여 3-on-1 break 기회를 갖는다
- 바스켓을 향해 컷하는 공격수 2, 3번에게 패스를 연결하여 득점을 노린다.
- 공격수 1번은 엘보우를 지나 컷인하는 공격수 4번에게 패스를 하거나
공격수 2번에게 패스 후, 다시 로우포스트로 이동한 공격수 4번에게 패스한다.
- 공격수 1번은 엘보우에 위치한 공격수 5번에게 패스하거나.
공격수 2번에게 패스 후 ,다시 반대편 엘보우로 이동한 공격수 5번에게 패스한다.
- 공격수 5번은 바스켓을 향해 컷하는 공격수 3번에게 패스한다.
- 속공에 실패하는 경우 정상적인 half court offensive set으로 전환한다.
'basketball coach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컷의 종류와 응용 (0) | 2013.04.17 |
---|---|
스크린 활용법 (1) | 2013.04.17 |
1-3-1 지역방어 (0) | 2013.04.17 |
3-2 지역방어 공략법 (0) | 2013.04.17 |
2-3 지역방어 공략법 예) 2 (0) | 2013.04.17 |
IE9 이상으로 브라우저를 업그레이드하거나, 크롬, 파이어폭스 등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