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인방어는 공을 소유한 선수에 압박을 가하면서(on ball defense)
동시에 바스켓을 방어(helpside defense)할 수 있는 수비방법이다.
- 좋은 대인방어는 자신이 맡은 공격수들을 개인적으로 방어하는 것이 아니라
다섯명이서 함께 협동하는 팀수비이다.
Positioning - on-ball, deny, helpside, help and recover
- 탑에서 수비수 1번이 공을 소유한 공격수 1번을 방어하는 상황
helpside defense가 없는 상황.
Deny
- 수비수 2번과 3번이 deny(but not full denial) 위치에 선다.
- 공격수 1번과 공격수 2번,3번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을 만들고
공이 있는 방향으로 가상의 선을 향해 조금 앞으로 이동한다.
수비수 2번은 오른손, 수비수 3번은 왼손을 내밀어 passing lane을 차단한다.
- 공이 탑에 위치한 경우,
수비수 4번과 5번은 자신의 로우포스트 공격수보다 앞선 위치에 선다.
- 공격수 1번이 드리블 돌파가 좋은 포인트 가드인 경우에는
이를 방어하기 위해서 수비수 2번과 3번이 다소 안쪽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 포인트 가드보다 윙 공격수가 공격력이 좋은 경우에는
수비수 2번과 2번은 자신의 공격수에게 좀더 다가선 위치에서 패스를 차단한다.
Help and recover
- 공격수 1번이 돌파를 시도하는 경우, 수비수 2번이 도움수비를 하는 상황
공격수 1번이 공격수 2번에게 패스를 하면, 수비수 2번은 다시 자신의 공격수 2번을 방어한다.
- 공을 가진 선수를 압박해주면서, 돌파를 시도할 경우 도움수비까지 생각하도록 만든다.
- 공이 윙으로 이동한 경우
수비수 3번과 5번은 도움수비가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수비수 4번은 공격수 4번보다 1/2 정도 앞선 위치(패스와 백도어 컷을 방어할 수 있는)에 선다.
- 수비수 2번과 같이 가상의 선상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공격수의 백컷에 취약해질 수 있다.
수비수 3번과 같이 패스와 백컷을 모두 대비할 수 있는 위치에 선다.
- 공격수 2번이 백컷을 성공시키는 장면
Full denial
- 공격수 1번이 드리블을 멈추고 공을 잡아 오직 패스만 가능한 상황
- 모든 수비수는 full denial 위치에 서서 패스를 차단한다.
공격수 1번이 5초룰(five-second held-ball violation)을 위반하도록 유도한다.
Helpside
- 자신이 맡은 공격수가 2번의 패스로 연결가능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움수비가 가능한 위치로 이동하여 방어한다. (오른쪽 그림의 수비수 2번과 4번)
- 공격수 3번이 왼쪽 윙에서 공을 가진 상황
- 수비수 2번과 4번은 도움수비가 가능한 위치로 이동,
수비수 5번은 공격수 5번보다 1/2 앞선 위치에서 수비한다.
수비수 1번은 가상의 선쪽으로 약간 다가선 위치에서 공격수 3번의 패스와 돌파를 차단할 준비를 한다.
- 공이 코너로 이동한 경우
- 공이 프리드로 라인 아래에 위치한 경우 도움수비수들(수비수 2번, 4번)은
helpside line(페인트 존 중앙을 연결한 가상의 선)으로 이동하여 수비한다.
- 수비수 1번 역시 도움수비가 가능한 탑 위치로 이동한다.
- 수비수 1번 역시 도움수비가 가능한 탑 위치로 이동한다.
- 수비수 3번은 공격수 5번의 패스와 돌파에 대비할 수 있는 위치(deny, help and recover position)에 선다.
- 공격수 5번에 공격수 2번에게 스킵 패스를 한 경우
수비수 2번이 재빨리 이동하여 공격수 2번을 방어한다.
수비수 3번과 5번은 도움수비 위치로 이동한다.
수비수 1번과 4번은 'deny, help and recover'가 가능한 위치에서 수비한다.
- 공격수 2번이 컷인하여 패스를 받은 상황에서는 수비수 3번이 이를 방어한다.
- 공격수 3번에게 패스가 되면 수비수 1번이 커버한다.
- 하이포스트로 공이 이동한 상황
수비수 5번은 하이포스트로 공이 투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야 한다.
- 공이 탑으로 이동후 다시 오른쪽 윙으로 이동, 3번 공격수가 3번 수비수를 스크린하는 장면
- 수비수 3번과 1번이 서로 스위치 수비를 하는 장면(왼쪽)
- 공격수 2번이 수비수 2번을 스크린하는 장면(오른쪽)
- 수비수 3번은 도움수비 위치로 이동
- 수비수 1번과 2번이 서로 스위치한 장면
- 수비수 3번은 공격수 3번을 방어하기 위해 윙으로 이동
remember
- 대인방어시 중요한 점은
항상 공을 가진 선수를 압박하면서 동시에,
로우포스트에서는 앞선 위치에서 수비하고, 패스를 차단하고,
컷터들의 움직임을 방해하고, 골밑 돌파에 대한 도움수비를 대비해야 한다.
**************************************************************************************
Force to the sideline
- 공이 사이드라인- 베이스라인 근처로 이동하도록 압박한 후 trap 수비를 시도할 수 있다.
- 공이 한쪽 사이드로 이동하면 즉시 도움수비 위치로 이동한다.
- 공이 탑이나 미들 지역에 위치한 경우에는 'helpside depense'를 하지 않는다.
- 공이 윙이나 코너로 이동한 경우에는 수비수들은 볼사이드-코트 중앙까지의 지역을 방어한다.
- 공이 한쪽 사이드로 이동하면, 계속 그 지역에 머물도록 유도한다.
수비수 1번은 오른쪽 윙에서 탑으로 패스가 되지 않도록 deny 수비한다.
- 수비수 2번은 공격수 2번의 탑(회색 사각형) 방향 드리블 돌파를 차단하고. 베이스라인으로 유도한다.
- 반대편으로 스킵패스가 되는 경우 재빨리 정상적인 수비위치로 되돌아간다.
- 로우 포스트 수비수 4번은 패스를 차단하기 위해 베이스라인 쪽 1/2 앞선 위치에서 수비한다.
수비수 4번이 신장이 작은 경우, 공격수보다 완전히 앞선 위치(full-front)에서 수비한다.
- 공격수 4번에게 로브 패스(lob pass)가 연결되는 경우
반대편 로우포스트(helpside) 수비수 5번이 이동하여 더블팀을 시도한다.
- 반대편 윙 수비수 3번이 반대편 로우포스트로 이동하여 수비한다.
- 공격수 2번이 베이스라인 근처로 드리블하여 이동하는 경우, 베이스라인을 따라 돌파하는 것을 차단한다.
- 수비수 2번은 공격수 2번이 베이스라인을 향해 이동하도록 압박한다.
로우포스트 수비수 4번이 즉시 베이스라인으로 이동하여 수비수 2번과 함께 더블팀을 시도한다.
- 반대편 로우포스트 수비수 5번이 공격수 4번을 커버한다.
반대편 윙(opposite helpside wing)이 위크사이드 로우포스트로 이동하여 수비한다.
- 사이드라인 근처에서 trap 수비를 시도하면서, 5초룰 위반이나 실책, 가로채기 등을 유발시킨다.
- 공격수 4번이 엘보우로 이동하여, 공격수 2번이 돌파할 공간을 만들어주는 경우
- 수비수 5번은 즉시 베이스라인으로 이동하여 공격수 2번을 방어한다.
수비수 3번은 위크사이드 로우포스트로 이동한다.
- 효과적인 수비를 하기 위해서는 자동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충분한 연습이 필요하다.
수비수 5번과 3번이 느리게 움직이는 경우 실패할 확률이 높다.
수비수 4번은 공격수 2번이 드리블 돌파를 시작하자마자 베이스라인으로 이동해야 한다.
- 수비수 1번은 공격수 1번과 3번 사이에 위치하여, 스킵패스에 대비하거나 가로채기를 시도한다.
*******************************************************************************************************
Defending the low post
- 공이 탑에 위치한 경우,
포스트 수비수들은 자신의 공격수보다 완전히 앞선 위치에서, 한 손을 들어 로브패스를 차단한다.
- 공이 윙으로 이동하는 경우,
포스트 수비수들은 공격수 아래(not over)쪽으로 돌아 베이스라인 방향으로 이동하여
수비수보다 1/2 앞선 위치에서 수비한다.
- 공격수 5번에게 패스가 연결되면, 수비수 4번은 수비수 3번과 함께 이를 방어한다.
- 공이 다시 탑으로 돌아가는 경우,
수비수 4번은 공격수 아래쪽으로 돌아(not over) 완전히 앞선 위치에서 수비한다.
- 공격수 아래쪽으로 돌아나가는 이유는
공격수가 백도어 컷(또는 로브패스)을 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고,
좀더 유리한 리바운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서이다.
- 공이 탑에서 왼쪽 윙으로 이동하는 경우
수비수 5번도 같은 방법으로 위치를 바꾸어 수비한다.
로브 패스를 수비하는 방법
- 수비수 3번은 공격수 3번이 패스를 쉽게 하지 못하도록 압박한다.
- 반대편 포스트 수비수 4번이 로브 패스에 대한 도움수비를 한다.
- 수비수 2번이 로우포스트로 내려와 공격수 4번을 커버한다.
- 로우포스트로 패스가 연결된 경우,
윙 수비수 3번이 로우포스트로 내려가 도움수비 하는 경우의 단점
1. 대부분 수비수 3번이 로우포스트로 이동하는 속도가 느리고, 공격수에 대한 수비 각도가 좋지 않다.
2. 빠른 back pass가 되는 경우, 공격수 3번이 오픈된 3점슛 기회를 얻게된다.
- 수비수 5번이 베이스라인 방향을 차단하고, 수비수 2번이 페인트존 방향을 차단한다.
수비수 4번이 도움수비를 가는 경우와는 달리
수비수 4번이 (신장차이에 따른 미스매치가 없이) 공격수 4번을 수비할 수 있다.
- 수비수 2번은 패스가 되돌아나오는 것을 차단한다.
- 수비수 1번은 공격수 1번과 2번 사이에서 스킵 패스를 차단한다.
더블팀 상황에서 스킵패스로 연결되는 경우
- 수비수 1번이 베스트 공격수(슛터)를 방어한다.
수비수 1번이 공격수 2번에게 패스가 되는 것을 차단하거나 다시 공격수 1번에게 패스되는 것을 차단한다.
- 수비수 3번과 5번은 도움수비가 가능한 위치로 이동한다.
- 수비수 4번은 공격수보다 1/2 앞선 위치에서 수비한다.
All defenders must talk and communicate!
Denying the high-post
- 하이포스트 수비수 4번은 공격수보다 1/2 or 3/4 앞선 위치에서 수비한다.
'basketball coach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체접촉 파울 - 기본원리(실린더의 원칙과 진로에 대한 권리) (1) | 2013.04.17 |
---|---|
대인방어 수비방법 2 (0) | 2013.04.17 |
컷의 종류와 응용 (0) | 2013.04.17 |
스크린 활용법 (1) | 2013.04.17 |
속 공(fast break) (0) | 2013.04.17 |
IE9 이상으로 브라우저를 업그레이드하거나, 크롬, 파이어폭스 등 최신 브라우저를 이용해주세요.